주식 시장, 지금 사도 될까? 김종봉 투자자의 조언


주식 시장이 오르고 또 오르면 사람들의 기대감은 점점 커집니다. “이제 4천이다, 5천 간다, 6천까지도 간다!” 모두가 그런 기대를 품고 고점에서 주식을 사기 시작합니다. 과연 지금, 주식을 사야 할까요? 아니면 기다려야 할까요?

20년간 투자와 돈에 대해 연구하며, 실제로 월 1억의 수익을 꾸준히 기록하고 있는 김종봉 전업 투자자의 이야기를 통해 그 해답을 찾아보겠습니다.

1. 주식 시장의 흐름을 먼저 이해하자

김종봉 투자자는 과거 24살 때부터 주식을 시작해 지금까지 꾸준히 시장을 관찰하고 실전 매매를 해왔습니다. 그는 주식 시장은 항상 급등 이후에 급락이 온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실제로 코스피 지수의 흐름을 보면 한 번 큰 상승이 있으면 반드시 그 뒤에 큰 하락이 따라왔습니다.

“급등이 있었던 이후엔 급락이 옵니다. 그건 언제나 반복되었어요.”

코로나 이후에도 그랬고, 과거 2017년에도 그랬습니다. 지금의 시장 역시 같은 흐름으로 가고 있다는 것이 그의 분석입니다.



2. 지금은 지수가 4천까지 갈 수 있는 시점

현재 코스피 지수는 상승세에 있습니다. 김종봉 투자자는 4,000선까지 추가 상승이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는 보수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4천이 넘으면 사람들이 또 5천, 6천 간다고 할 거예요. 그때가 고점일 수 있어요.”

3. 수익 중이라면? 계속 보유해도 괜찮다

지금 시장에 이미 투자해 수익 중이라면 굳이 팔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역사적으로 지수는 급락 이전에 항상 반등을 주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신규 진입자라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너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기보다는, 소액으로 연습하고 공부하면서 접근하라는 조언입니다.

4. 하락장을 준비하라 – 공부와 분석의 시간

지금은 수익이 나는 섹터를 따라가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섹터가 바뀌고 유행이 지나가면 대부분 큰 손실을 입습니다. 과거 2차전지, 금양 등의 사례처럼 말이죠.

그래서 지금 해야 할 일은?

- 회사를 정확히 분석하는 능력 키우기

- 실적 대비 주가가 과도한지 체크하기

- ETF와 우량주 매수 계획 세우기

5. 투자 원칙 – 항상 30%만 시장에 넣어라

김종봉 투자자는 항상 강조합니다. 절대 몰빵하지 말고, 전체 자금의 30%만 시장에 투자하라고요.

“30%는 항상 시장에 들어가 있어야 조바심이 안 납니다. 나머지는 기회를 기다리세요.”

이는 수익뿐만 아니라 멘탈 관리에도 효과적입니다. 수익이 낮은 사람일수록 손실에 대한 두려움이 크기 때문에, 현금 비중을 유지하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6. 실력이 없으면 큰 돈도 의미 없다

많은 사람들이 “큰 돈만 있으면 투자도 잘하겠지”라고 생각하지만, 그는 단호하게 말합니다.

“100만 원으로 110만 원 못 만드는 사람은 10억을 줘도 1억 못 벌어요.”

즉, 투자는 원금보다 실력이 우선입니다. 소액으로 시작해서 실력을 키우고, 점점 포트를 확장하는 전략이야말로 장기적으로 살아남는 방법입니다.

7. 미국 주식? 우량주 장기 투자로 접근하라

미국 주식에 대해 그는 “거래 대금이 많고, 세계 1등 국가의 1등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확률적으로 안정적”이라고 말합니다. 다만, 미국 주식도 마찬가지로 분산 투자와 현금 보유 전략이 중요합니다.

결론: 지금은 지켜볼 때, 기회를 기다려라

- 현재 시장은 추가 상승 여력이 있지만, 고점도 가까워지고 있음

- 수익 중인 투자자는 보유, 신규 진입자는 보수적으로 접근

- 항상 30% 비중만 투자, 나머지는 하락장 대비

- 실력을 키우는 데 집중, 소액으로도 학습 가능

- 주식은 확률 + 멘탈 싸움, 몰빵은 실패로 가는 지름길

지금 이 글을 읽는 당신이, 2년 후에는 남들과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는 투자자가 되길 바랍니다. 100만 원으로도 연습은 충분합니다. 조바심 내지 말고 지금부터 준비하세요.